전체 696

By China 시대의 위기와 기회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273 2 0 1 2015-03-23
불과 5년 전만 하더라도 중국의 해외여행자가 1억 명을 돌파하는 시기를 2018~2020년 정도로 예측했다. 그러나 그 먼 미래로 보았던 요우커 1억 명 시대는 이미 목전에 있다. 앞으로 대한민국을 찾는 요우커도 2018년까지 매년 20% 이상 증가하고, 그들의 소비지출도 30% 이상 증가하여, 늦어도 2018년까지 1,000만 요우커가 30조 원이 넘는 돈을 한국에서 소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4년 내에 국내 내수시장의 10%에 해당되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이를 책임질 1,000만 명의 새로운 소비자가 나타난다는 것은 대한민국 소비시장 성장에 새로운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 아닐 수 없다.

국가의 거짓말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341 2 0 1 2015-03-24
정치인들은 선거 때마다 포퓰리즘 공약을 앞다투어 내놓는데, 이런 공약들은 지켜도 문제, 지키지 않아도 문제다. 애초에 실현 가능성이 없는 포퓰리즘 공약을 지키게 되면 국가 재정을 비롯한 전체 국가 운용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고, 지키지 않으면 국민의 신뢰를 잃어 정권의 지지 기반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현대사에도 정부의 무능과 거짓으로 인해 국민들이 피해를 본 일들이 종종 있었다. 이승만 정권 때 국가의 거짓에 속아 길에서 죽어간 ‘국민방위군’ 사건이 있었고, 전두환 정권 때는 ‘삼청교육대’를 만들어 ‘깡패 척결’이라는 명목으로 무고한 시민들을 끌고 가 학대했고, 김영삼 정부 때는 국가 경제가 어렵다는 사실을 쉬쉬하면서 경제난을 키우다 끝내 국민들을 실업의 나..

행복한 인생 만들기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365 2 0 1 2015-03-24
인생에서 우리가 가장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세계 주요 나라 국민들 대부분 행복, 성공, 건강 세 가지를 말한다. 세 가지 중 성공과 건강을 위해선 대부분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한다. 하지만 행복은 어떤가? 행복을 위해서 별도로 투자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행복은 성공하고 건강하면 그냥 덤으로 따라올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오직 돈, 권력, 명예의 상징인 성공에만 매달리게 되고, 자신이 행복할 수 있는 충분한 환경이 만들어졌는데도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힘들고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것이다. 행복을 원한다면, 이제 스스로 행복에 대한 관심을 갖고 행복을 만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행복 중심의 인생 목표를 재설정해야 한다. 최근 에드 디너와 로라 킹 등의 연구에..

오늘날 젊은이의 지적 능력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361 2 0 1 2015-03-24
오늘날처럼 젊은이의 삶이 순조로웠던 시대는 없다. 물질적으로 매우 풍요롭고, 학교에 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되었으며, 손만 까딱하면 손쉽게 오락을 접할 수 있고, 엄청난 자유를 누리고 있다. 이렇듯 물질적으로 많은 것을 얻으며 세속성과 자율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점점 낮은 연령대로 확산되는 듯하다. 많은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이 지식과 기술은 속도에 발맞추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지적인 습관은 도리어 사라지고 있다. 21세기 젊은이가 누릴 수 있는 삶의 우선권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1980~1990년대의 경제ㆍ디지털 혁명은 기적처럼 손쉽고 빠르게 각종 정보와 상품, 오락과 친구를 접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에 따라 젊은이의 정신도 자아에 발맞추어 성장..

금융위기 대응전략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362 2 0 1 2015-03-24
인류가 금융 행위를 시작한 것은 상당히 오래전부터였다. 연구에 따르면 가장 기초적인 대출과 이자 수수 관행은 기원전 5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당시 사람들은 곡물을 빌린 뒤 이를 추수 후에 갚았으며 동물을 빌린 경우에는 새끼로 갚았다고 한다. 금융위기의 역사도 금융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흔히 최초의 금융위기는 5세기에 그리스 아테네를 구심점으로 한 델로스 동맹의 파산으로 알려져 있다. 델로스 동맹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스파르타에 포위되면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고 부도를 냈다고 한다. 하지만 진정한 금융위기는 지폐와 은행이 등장한 이후에 시작되었다. 초창기 은행들은 금과 은 등 경화를 예금으로 받고, 대출할 때는 은행권을 교부했기 때문에 항상 금화 ..

세상을 바라보는 지혜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399 2 0 1 2015-03-24
상생, 행복, 소통, 성공, 창의, 리더십, 정의, 국가, 영성이라는 9개의 주제와 연결시켜 세상을 바라보는 지혜를 담아낸다. 책을 읽을수록 책은 정말 우리의 인생에 마르지 않는 보물창고라는 생각이 든다. 책 때문에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고, 사업상 어려움에 직면할 때마다 책 속에서 적절한 해결책을 발견하기도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영감도 얻는다. 또한 책은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 동안 당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주고 나아가 우리가 왜 사는지 그리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깨달음도 제공해준다.

취업 스펙 매니지먼트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592 2 0 1 2015-03-24
“어떻게 하면 제일기획에 들어갈 수 있나요?” 내가 가장 많이 듣는 동시에 나를 가장 곤란하게 하는 질문이다. 광고가 좋아서 열심히 했고 무언가 운이 좋아서 합격한 것도 같은데 도대체 왜일까? 나도 무척 궁금했다. 하지만 물어보려 해도 누구에게 물어본단 말인가? 나는 강원도 춘천의 한림대학교를 졸업하고 2010년 삼성그룹 신입사원 공개 채용을 통해 제일기획에 입사했다. 처음 내게 쏟아졌던 많은 선후배들의 격려와 축하는 그의 곱절이 넘는 질문과 고민으로 바뀐 지 오래다. 스펙 공화국이라는 잔인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 나라에서 외로운 싸움을 계속하고 있는 그들의 마음이 전해졌다. 선배로서 답 비슷하게 생긴 무엇이라도 내놓아야 할 의무, 사실 의무나 책임을 가질 정도로 멋..

성공으로 다가가는 비밀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290 2 0 1 2015-03-24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일까? 글을 쓰기에 앞서 한 번 더 이 질문을 떠올렸다. 살아오는 내내 문득 떠올라 삶을 되돌아보게 하던 물음이다. 나이 50을 넘어서 이제 중반으로 달려가고 있다. 옛말로 지천명(知天命)이라는 세월을 살았는데도 여전히 확실한 답은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뿌연 안개가 걷히고 답답했던 시야가 조금쯤 맑아지듯, 어렴풋이 답을 알 것도 같다. 인생에는 정답이 없다. ‘어떻게’라는 것이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아닌 것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나는 어떻게 살았을 때 가장 행복했을까? 이것을 돌이켜 생각하니 희미하게나마 답이 보이기 시작했다. 이렇게 살든 저렇게 살든 내가 생각하는 대로, 느낀 대로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다. 내..

조직 운영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772 2 0 2 2015-03-24
2014년 1월 28일, 세계 최대 홈퍼니싱 기업인 이케아가 2013년 실적을 발표했다. 순이익만 33억 유로(약 45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1퍼센트나 증가했고, 285억 유로에 달하는 매출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케아는 2020년까지 매출을 지금의 두 배인 500억 유로(약 682억 달러)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며 그 미래 성장의 동력으로 신흥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대표 주자로 인도에 1,050억 루피를 투자하고 25개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중국에는 1998년 이케아 1호점을 상하이에서 오픈했으며 현재는 총 16곳의 매장이 운영 중이다. 일본에서는 2006년 4월, 1호점인 지바 현의 후나바시 점이 영업을 개시한 이래 2014년 현재 8개 ..

징비록

전학성 | 유페이퍼 | 500원 구매
0 0 369 2 0 2 2015-03-24
조선 왕조 6백여 년의 역사 중 가장 치욕스러운 세 장면이 있다. 바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일제 치하가 시작되는 경술국치이다. 이런 오욕의 역사를 안고 오늘의 대한민국 헌정 역사가 새롭게 시작되었다. 그러나 과연 우리는 과거 역사의 치욕을 딛고 건강한 대한민국의 건설에 앞장서 왔는지 다시 한 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아픈 역사를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된다. 우리는 그 역사를 두려워해야 한다. 그리고 새롭게 나가야 한다. 임진왜란 7년의 전쟁을 낱낱이 고하며, 후세 백성들에게 임진왜란의 참상을 보여주고 반성의 보고를 남긴 조선조 최고 전시 재상 유성룡의 기록이 있다. 바로 <징비록>이다. 7년간의 전쟁 기록으로, 후세인들에게 경계를 던졌던 유성룡의 반성이 오늘..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